코딩 공부/코드스테이츠 TIL

Code States 7일차

fullfish 2021. 10. 15. 22:00

오늘의 키포인트

CLI
nano
npm
Node.js
nvm

나의 이해

CLI(Command-line interface) : cmd나 터미널같은거 열어서 명령어로 컴퓨터 제어
GUI(Graphical user interface) : 편리하게 아이콘같은거로 나타낸거 ex) 파일 이동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할 수 있음
nano : 텍스트 에디터의 종류
npm(Node Package Manager) :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 Node.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
  일종의 앱스토어 같은 모듈 스토어 mac의 패키지 매니저가 brew이듯 node.js의 패키지 매니저
Node.js : 런타임 환경
nvm(Node Version Manager) : 버전 매니저. 다양한 node version을 쉽게 옮겨다닐 수 있게 해줌

문법 및 중요

Javascript : 프로그래밍 언어  js자체적으로는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며 document를 다룸
node
브라우저 밖의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  데스크탑에서 동작하며 js언어로 서버개발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환경

 

프롬프트(prompt) : CLI명령줄 대기모드 // 글자가 입력되는 공간
“.”
현재 폴더, “..” 상위 폴더
pwd : 현재 위치
open . :
현재 위치를 GUI로 실행
mkdir
이름 : 폴더 생성 // 폴더 이름에 띄어쓰기 하려면 ‘\ ‘ 이렇게가 1칸 띄우기
 2
칸 띄우려면 ‘\ \ ‘ 이렇게  그냥 띄우면 폴더가 2개 생김
ls :
현 위치의 리스트 // -a : all, -l : 포멧 표현  포멧중 d로 시작은 폴더 -는 파일
cd 폴더이름:
폴더 진입 // 그냥 cd만 쓰면 /Users/choiimanseon 으로감. cd / 는 루트폴더
touch 이름.확장자 : 파일 생성
rm 폴더나파일이름
: 삭제 // 옵션 r : recursive 폴더 지울 때 사용, f : force 질문 안받기
mv 파일 폴더/ : 파일을 폴더로 이동
mv 전이름
후이름 :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 변경
cp 원본파일이름
복사할파일이름 : 파일을 복붙

cat : 파일의 내용을 출력

man -ls 명령어들 뭐 있는지 보기
code . : vscode
열기

 

homebrew 설치전에 xcode Command Line Tools 먼저 설치해야함
xcode-select --install

https://brew.sh/  homebrew 사이트 들어가서 설치

brew update: 패키지의 업데이트 여부 확인

brew outdated: 업데이트 필요한 파일 조회

brew upgrade: 프로그램 업그레이드

brew info: 프로그램의 정보 확인 
brew install: 프로그램 설치
brew list: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보기

brew uninstall: 프로그램 삭제

 

https://github.com/nvm-sh/nvm   nvm 설치 // wget로 시작하는거로

nvm --version : nvm 버전 확인

 

nvm install 15 : 15버전의 node.js설치 // m1은 적어도 15이상 설치해야함

nvm ls : nvm을 통해 설치한 node version들이 나옴
nvm install 버전번호 : 특정 버전의 node설치
nvm use 버전번호 : 그 버전 사용

 
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codestates-content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npm-registry/registry.sh)" //최초1회 해야함 그래야지 과제제출 가능
cat ~/.npmrc  // 이것을 썼을때 아래처럼 나오면 성공적 설치
//npm.pkg.github.com/:_authToken=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 @codestates-cc:registry=https://npm.pkg.github.com/

남이 만들어 놓은 모듈을 node.js에서 npm모듈이라고 부름
이 정보를 담은게 package.json 이건 실제 실행 모듈이 아닌 카탈로그 같은거

 

Package.json에서
script : CLI
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들 실행시키기
dependency :
이 프로젝트가 실행될 때 필요한 모듈들
devDependency :
개발할 때 필요한 모듈들(ex. Eslint(개발자가 보기 편하게), mocha(테스크 케이스 작성에 쓰임), chai(이것도 테스트 케이스))  

npm install은 항상 폴더마다 해야함

'코딩 공부 > 코드스테이츠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de States 9일차  (0) 2021.10.19
Code States 8일차  (0) 2021.10.18
Code States 6일차  (0) 2021.10.14
Code State 5일차  (0) 2021.10.14
Code States 4일차  (0) 2021.10.12